본문 바로가기

부정맥/증상

맥박이 느린 증상, 정상 심장 박동 수


● 심장 박동 수는 일정한 시간내에 심장이 뛰는 횟수를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1분동안의 박동 수로 계산한다. 


● 또한 심장이 혈액을 내보낼때 동맥에도 박동이 생기는데 이를 맥박이라하므로 심장박동수와 맥박수는 일치한다.


● 심박수는 동물마다 다른데 쥐 같은 동물은 1분에 무려 300~400회로 알려져 있고, 인간의 경우 어릴수록 심박수가 빠르고 나이가 들어가면서 점점 느려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특히 운동선수 그중에서도 마라톤 선수는 달리는 중에도 분당 60~70회로 매우 느린 것으로 유명하다. 


정상 심장 박동 수(맥박 정상수치)

● 신생아, 유아 110~140 회/1분


● 초등학생 70~110


● 중고생 50~100


● 일반 성인 50~90


● 정상수치보다 낮으면 서맥, 높으면 빈맥으로 둘 다 부정맥에 속하고 위험한 질환이 원인일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맥박이 느린 증상, 서맥

● 성인의 심장박동수가 분당 100회 이상이 되면 너무 빨라서 빈맥이라고 하며 그러한 경우 빈혈, 긴장, 스트레스, 불안, 갑상선 기능 항진증, 탈수, 대사질환, 발열, 심부전, 심근염, 저산소 혈증, 빈맥성 부정맥 등의 질환을 의심할 수 있다.


● 맥박수가 분당 60회 이하인 경우 느리다고해서 서맥이라고 부른다. 서맥은 심장의 움직임이 느린 것으로 뇌에 혈액을 원활하게 보낼 수 없는 상태로 현기증, 실신, 동요, 기억력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 맥박이 현저히 느린 증상이 나타날 경우 마라톤 선수같은 스포츠 심장을 가진 사람이 아니라면 정상이 아니므로 다양한 질환을 의심할 수 있다.


● 서맥인 경우 의심할 수 있는 질환은 서맥성 부정맥, 갑상선 기능 저하, 저체온증, 황달, 아담스 스톡스 증후군 등이다. 서맥이 지속될 경우 심근경색, 협심증, 심부전 등이 원인일 수 있다.


● 서맥이 의심되는 경우엔 순환기내과를 찾아서 심전도 검사나 심장초음파를 받고 정확한 원인을 찾아 대책을 세워야 한다.


● 서맥 증상이 악화될 경우엔 페이스 메이커(심장박동기)를 왼쪽 가슴안에 심어야하는데 페이스 메이커는 맥박이 느려지면 약한 전기자극을 보내 정상으로 돌리는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