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혈당은 일반적으로 혈액의 포도당의 의미한다.
♥ 포도당은 에지원으로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혈액속의 혈당은 일정한 농도로 유지되고 있다.
♥ 이 혈당을 컨트롤하는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인슐린의 작용이 약해지면 혈액속에 다량의 당이 존재하게 되어버린다.
혈당 수치로 알수 있는것은?
♥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이 부족하면 혈액에 포도당이 넘쳐 고혈당이 되고, 반대로 인슐인이 넘쳐나게되면 저혈당이 된다..
♥ 두 경우 모두 혈당의 비정상적인 증가 또는 감소에 해당되어 몸에 악영향을 미친다.
♥ 혈당검사는 당뇨병의 진단에 필수적이다.
혈당 정상범위
♥ 공복시 혈당 70 ~ 109 mg/dL
♥ 식후 2시간후 혈당 140mg/dL
♥ 공복 혈당검사는 전날 저녁부터 금식하고 아침에 공복상태에서 혈액을 채취해 측정한다.
♥ 식후 혈당검사는 밥을 먹은 2시간뒤에 혈액을 채취해 검사한다.
혈당검사 결과 진단
♥ 공복시 혈당수치가 126이상, 식후 혈당이 200mg 이상이면 당뇨의심판정을 내릴 수 있다. 이 경우엔 추가로 포도당 부하시험(GTT), 혈중 인슐린 검사를 수행해서 정확한 진단을 내리게된다. 만약 당뇨로 판정이 나게되면 합병증 유무를 검사하기위해 소변검사, 신경검사등의 추가검사를 실시한다.
♥ 2. 혈당수치가 116 ~125일때는 역시 포도당 부하검사, 당화혈색소 검사, 알부민 검사등을 추가적으로 시행해 정밀진단을 받게된다.
♥ 공복혈당이 110~115로 정상당뇨수치를 약간 넘어선 경우엔 생활습관의 개선을 일단 실행하고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으면서 추이를 지켜본다.
1. 혈당 정상범위를 초과할때
♥ 당뇨병외에 합병증으로 쿠싱증후군, 췌장염, 간염, 간경변, 말단 비대증등을 의심할 수 있다.
♥ 당뇨병 진단이 확정되면 의사지도하에 식이요법, 운동요법을 시작한다.
♥ 만약 이와같은 생활개선으로 혈당이 내려가지 않으면 인슐린주사를 맞게된다
2. 혈당 정상범위에 미달할때
♥ 섬선종, 간암, 갈락토스 혈증등을 의심할 수 있는데 섬선종은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세포에 종양이 생겨 인슐린이 대량으로 분비되는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