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혈액검사

알부민 정상수치, 알부민 기능


알부민이란

● 우리 인간의 혈청에 포함되어 있는 단백질의 주성분 중 하나를 말하는데 총단백질의 약 65%를 차지한다.


혈청 알부민 기능

● 혈장내에 존재하는 지방산, 빌리루빈 등 다양한 물질을 운반하는 기능을 하며 비루비린 등의 독성 물질과 결합해 혈액속의 독을 중화하는 기능을 한다.


● 대표적인 알부민의 기능으로 혈액의 삼투압을 조절해 체액의 농도를 조절하고 혈관의 내부와 외부의 수분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 칼슘, 칼륨, 아연 등 다양한 미네랄 성분과 결합해 이들 영양소를 신체의 각 부분으로 운반한다.


● 근육 등의 조직에 아미노산을 공급하며 항산화작용을 통해 노화를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알부민 정상수치

● 정상적인 수치를 살펴보기 위해선 A/G비율, 총단백, 알부민, 이 3가지를 모두 체크해야한다.

● 알부민 정상 기준치 범위 = 4.1 ~ 5.3 g/ml

● A/G 비율 = 알부민 수치/글로불린 수치, A/G 정상수치 = 1.22 ~2.13 g/ml

● 총단백질 정상범위 = 6.7 ~8.32


알부민 수치가 높으면?

● 탈수로 인해 혈관내의 수분이 감소하는 상태로 구강건조, 두통, 구역질, 전신 권태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알부민이 정상수치보다 낮으면?

1. 단백질 섭취 부족

● 영양실조, 소화흡수 장애가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철분의 부족으로 빈혈이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2. 간기능 저하

● 간에서 단백질이 합성되기 어려운 상태. 간경변, 간염 등의 간기능 장애가 진행되고 있을 수 있다.


3. 단백질의 이화항진

● 악성 종양, 수술, 외상 등으로 염증이 발생, 이화항진이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


4. 단백질의 체외손실

● 소변이나 출혈로 인해 단백질이 체외로 빠져나가고 있는 상황. 단백뇨의 유무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만약 단백뇨라면 신장질환인 신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다. 


5. 기타 질병

● 거식증, 교원병, 악성 임파종, 류마티스 관절염, 갑상선 기능 항진, 자외선 과다흡수 등의 질환 가능성이 있다.